한국과 일본의 전통빵, 그리고 두 나라에 빵이 들어온 역사와 대중화 과정을 정리해 드릴게요!
1. 공통점
· 팥앙금 사용: 한국의 붕어빵, 일본의 타이야키(도미빵)는 비슷한 모양의 팥빵이에요. 붕어빵처럼 팥앙금을 넣은 빵이 공히 존재합니다
· 서양빵 기원: 양국 모두 서양의 빵이 전래된 후, 자국 문화에 맞춰 현지화했다는 점도 같아요.
2. 차이점
구분 | 한국 전통빵 | 일본 전통빵 |
형태 | 붕어빵(붕어모양 팥빵) 등 길거리 간식 | 타이야키(도미빵), 화과자(전통 과자빵) 등 |
맛 | 팥의 고소하고 진한 맛 강조 | 팥 외에도 크림, 카스타드 등 다양한 속 사용 |
전문성 | 길거리 위주, 대중적 | 전문점·제빵집 별 세분화, 고급화 경향 |
3. 빵이 들어온 시기와 대중화
한국
· 1720년경 청나라에서 서양식 ‘서양떡’을 접한 것이 시초
· 19세기 말 ~ 20세기 초 외국 선교사와 함께 본격 유입됨
· 1920년대 산미증식 계획으로 밀가루 수입이 늘면서 대중화 시작
일본
· 1543년 포르투갈 선교사에 의해 처음 '비스코티' 형태로 전래
· **메이지 유신 이후 (1874년)**에 안빵(단팥빵) 발명 → 대중화 계기
· 전후 학교급식과 편의점 보급으로 더욱 확산, 멜론빵·카레빵 등 일본식 장르 등장
예시 전통빵
· 한국:
o 붕어빵: 팥앙금 + 간식, 길거리 대표 간식
· 일본:
o 타이야키 (도미빵): 팥 또는 크림 속 다양한 종류
o 안빵: 1874년 발명, 팥앙금이 들어간 일본식 단팥빵
✅ 요약 정리
· 공통점: 팥빵 존재, 서양빵 기원 + 현지화
· 차이점:
o 한국은 길거리 팥빵 위주, 일본은 전통·소품화·전문점 중심화
o 일본은 팥 외 크림·카스타드 등 다양한 속 존재
· 빵 역사:
o 한국: 1720년 북경→1920년대 대중화
o 일본: 1543년 포르투갈→1874년 대중화→전후 급속 확산
더 궁금한 빵 종류나 역사, 조리법 등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 주세요!